교수단위 - 해당 마이크로전공은 주관 교원이 관리하며, 문의는 해당 주관 교원으로 연락(연구실 번호 혹은 웹메일)
학부단위 및 교육단위: 해당 마이크로전공은 주관 학부(과)/전공이 관리하며, 문의는 해당 주관 학부(과)/전공 사무실로 연락(과사무실 번호)
캠퍼스 순번 마이크로전공명 유형 단위 주관 교원
(주관 학과)
신설목적 학수번호 교육과정
교과목명 학점 이수 주관학과
구분
서울 1 글로컬문화관광융합 융합연계형 교수단위 공간환경학부 정희선 교수
02-2287-5057
hchung@smu.ac.kr
문화관광산업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관광산업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창의적인 관광콘텐츠 및 프로그램 기획과 스토리텔링 능력을 갖춘 융합형 전문인력양성을 목적으로 함 HASP0027 문화와공간환경 3 전공 공간환경학부
HAMD0001 역사문화관광론 3 1MD 해당 마이크로전공
HAFU0013 역사스토리텔링 3 전공 역사콘텐츠전공
HABH0006 문화여행과sw콘텐츠기획 3 전공 한일문화콘텐츠전공
HASP0042 관광공간의스토리텔링과콘텐츠 3 전공 공간환경학부
2 범죄예방 공간환경설계 융합연계형 교수단위 공간환경학부 이유미 교수
02-2287-5359
lym0627@smu.ac.kr
사회적 변화에 따른 다양한 범죄 양상으로 범죄 예방에 대한 환경적 고려가 필요하기 때문에 범죄, 공간환경에 대한 분석을 통한 공간 설계단계에서부터 안전을 고려한 안전설계지침 수립, 공간특성을 고려한 안전한 지역 만들기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LF9284 범죄와사회 3 교양 지적재산권전공
HASP0019 공간빅데이터분석과인공지능 3 전공 공간환경학부
HASP0026 주택/단지디자인 3 전공 공간환경학부
HASP0033 단지디자인메뉴얼 2 전공 공간환경학부
HAUS0002 공간계획입문 3 전공 공간환경학부
3 크리에이티브 도시재생 융합연계형 교수단위 공간환경학부 박수경 교수
02-781-7545
maria1570@smu.ac.kr
저출생·초고령화로 인한 도시 노후화 가속화로 미래국토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도시재생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 인구구조의 변화, 산업의 구조개편과 재입지 등 노후 도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현안들을 분석·해결하여 도시 재활성화를 선도할 수 있는 전문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SP0022 도시공간의이해 3 전공 공간환경학부
HAAT0012 도시및지방행정론 3 전공 행정학부
HASP0043 도시재생과지역개발 3 전공 공간환경학부
HAAA9221 서울의역사와문화유산 3 전공 역사콘텐츠전공
HASP0041 세계도시연구 3 전공 공간환경학부
4 운동영양학 융합연계형 교육단위 식품영양학전공
02-2287-5129
건강증진 및 경기력 향상을 위한 전문적 영양서비스를 담당할 수 있는 운동·영양상담사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FU0004 식품과운동생리학 3 전공 식품영양학전공
HACL0002 현대인의영양과건강 3 전공 식품영양학전공
HADN0013 운동영양학 2 전공 스포츠건강관리전공
HADN0027 운동처방론 3 전공 스포츠건강관리전공
5 패션콘텐츠 자기전공활용형 교육단위 의류학전공
02-2287-5154
사회적 변화에 따른 패션 산업의 성장으로 학습자의 창의석 및 기술력을 제고하여 새로운 패션 콘텐츠 개발, 패션 산업 분야의 실무 능력 향상을 통한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CK0003 패션마케팅커뮤니케이션 3 전공 의류학전공
HACK0008 스타일분석및표현1 3 전공 의류학전공
HACK0009 패턴과의류생산2 3 전공 의류학전공
HACK9013 패션소재기획 3 전공 의류학전공
HACK6006 졸업작품제작 3 전공 의류학전공
6 문화콘텐츠 기획 융합연계형 교수단위 국어교육과 최홍원 교수
02-781-7550
hwchoi@smu.ac.kr
콘텐츠 가치사슬 단계(아이디어→창작·개발→유통→소비) 전체를 포괄하고 처계적으로 연계하여 콘텐츠 기획자 통합적 역량 제고 및 창의적 비즈니스 활용 가능성 다각화를 통해 사회적 변화에 따른 소비자 요구를 분석하여 콘텐츠를 개발·제작할 수 있는 소비자 맞춤형 콘텐츠 기획자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BA9211 고전문학과문화콘텐츠(캡스톤디자인) 3 전공 국어교육과
HABH0041 동영상플랫폼과콘텐츠문화 3 전공 한일문화콘텐츠전공
HABA3241 미디어리터러시와교육연극론 3 전공 국어교육과
7 k-문화공연기획 융합연계형 교육단위 음악학부
02-2287-5172
전 세계적인 한류 문화 확산으로 K-문화콘텐츠 산업 성장에 따라 다양한 한국 문화콘텐츠 개발 및 연관산업 융합하고 이론적, 실무적 역량 제고를 통해 K-문화콘텐츠를 기획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GO0060 음악마케팅관객창출 2 전공 음악학부
HAGO0081 공연기획(캡스톤디자인) 2 전공 음악학부
HAAM0010 글로벌서비스경영론 3 전공 글로벌경영학과
HAAM0021 국제마케팅커뮤니케이션론 3 전공 글로벌경영학과
8 콘텐츠IP 융합연계형 교수단위 지적재산권전공 김인철 교수
02-781-7501
kim208@smu.ac.kr
콘텐츠 산업은 원작 창작에서 더 나아가 2차 저작문 창작을 통한 고부가가치 창출할 수 있는 산업으로 콘텐츠 소재의 발굴·기획단계, 2차저작문화 단계를 연계하여 콘텐츠의 탄생부터 활용까지 아우를 수 있는 콘텐츠산업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AQ0044 저작권법1 3 전공 지적재산권전공
HABH0028 미디어믹스 3 전공 한일문화콘텐츠전공
HAAP0006 문화콘텐츠와창작소재개발 3 전공 역사콘텐츠전공
HAAP0001 문화콘텐츠발상과 기획 3 전공 역사콘텐츠전공
9 게임컨텐츠 사운드프로덕션 융합연계형 교육단위 음악학부
02-2287-5172
게임산업의 요구에 따라 다기능적 인재 양성이 각광받고 기획과 비주얼, 사운드가 1인 프로덕션으로 통합되는 미디어 콘텐츠 프로덕션 추세에 따라 게임 콘텐츠와 게임음악 사운드 디자인 양 분양의 기초적 프로덕션 스킬을 갖춘 프로듀서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GO0020 미디오디오시퀀싱 2 전공 음악학부(뉴미디어작곡)
HAGO0037 스튜디오테크닉 2 전공 음악학부(뉴미디어작곡)
HAGO0033 ICT음악플러스 2 전공 음악학부(뉴미디어작곡)
HAGF0006 게임학개론 3 전공 게임전공
10 마음건강과 치유 융합연계형 교수단위 가족복지학과 조은숙 교수
02-781-7782
grace123@smu.ac.kr
4차 산업혁명 시대로 정보화 사회 전환에 따라 인간관계를 통한 접촉과 마음 건강, 치유의 필요성이 각광받는 사회적 수요를 반영하여 해당 분야의 기초적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함 HAQG0003 정신건강론 3 전공 가족복지학과
HALF9279 긍정심리와 행복탐구 3 교양 가족복지학과
HAAL9002 집단상담 3 전공 가족복지학과
HASP0036 건강과 공간환경 3 전공 공간환경학부
11 에듀테크 기획 융합연계형 교수단위 교육학과 이현우 교수
02-2287-5456
hwl@smu.ac.kr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교육 산업의 변화로 AI튜터, 디지털교과서가 각광받음에 따라 학습자의 맞춤형 교육을 기획하고 학습자가 몰입할 수 있도록 학습자 중심 설계를 할 수 있는 에듀테크 기획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BE9233 디지털학습콘텐츠설계및개발(캡스톤디자인) 3 전공 교육학과
HABA5004 학습자맞춤형수업설계(캡스톤디자인) 3 전공 국어교육과
HABE9230 AI기반학습분석학(캡스톤디자인) 3 전공 교육학과
12 인적자원전문가/ 
인적자원관리개발자과정
사회수요맞춤형
-자격증형
교수단위 교육학과 김효선 교수
02-781-7776
hyosunk@smu.ac.kr
교육과 경영을 융합하여 인적자원에 대한 역량을 제고하고 다양한 조직에서 요구하는 통합적 관점에서의 인적자원관리와 개발을 할 수 있는 전문가 인력 양성과 인적자원관리 개발사 자격증 취득 지원을 목적으로 함 HABE9232 인적자원개발론 3 전공 교육학과
HAAE0006 인적자원관리 3 전공 경영학부
HAAE5004 조직행동론 3 전공 경영학부
HAAE6002 경영조직론 3 전공 경영학부
13 AI+X선도인재양성 사회수요맞춤형
-산학연계형
교수단위 휴먼지능정보공학전공 황민철 교수
02-2287-5293
whang@smu.ac.kr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인공지능 기술이 각광받음에 따라 KT와의 협력을 통해 인공지능과 관련한 교육을 진행하고 인공지능 개발자, 인공지능 서비스 기획자 등 관련 산업의 실무적 역량을 지닌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KT0001 AI+X선도인재양성기초프로젝트 3 전공 AI+X융합센터
HAKT0002 AI+X선도인재양성중급프로젝트 3 전공 AI+X융합센터
HAKT0003 AI+X선도인재양성고급프로젝트 3 전공 AI+X융합센터
14 아트앤AI 융합연계형 교수단위 휴먼지능정보공학전공 권지은 교수
02-781-7753
jieun@smu.ac.kr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인공지능과 예술 분야를 결합한 미드저니, 달리 등 관련 프로그램이 각광 받음에 따라, 최첨단 인공지능 기술과 예술분야를 융합하여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예술 콘텐츠를 기획 및 제작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DA1103 기초컴퓨터그래픽 3 전공 조형예술전공
HADA0032 이미지와프로덕션 3 전공 조형예술전공
HAIE0011 인터랙션디자인 3 전공 휴먼지능정보공학전공
HAIE0032 피지컬컴퓨팅 3 전공 휴먼지능정보공학전공
15 파이낸스 애널리틱스 융합연계형 교수단위 글로벌경영학과 반주일 교수
02-781-7586
ban9415@smu.ac.kr
비즈니스 전 분야에서 데이터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애널리틱스 기술이 각광받음에 따라 수학, 통계학, 컴퓨터 언어 등의 기초지식이 파이낸스 분야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직접 체험하여 데이터 수집, 분석 가공, 해석 등의 실무적 역량을 지닌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AM9220 기업재무이론과실제 3 전공 글로벌경영학과
HAAE9230 데이터와금융 3 전공 경영학부
HAAM9223 데이터기반글로벌금융투자 3 전공 글로벌경영학과
HAAE9013 파생상품의이해 3 전공 경영학부
16 공공분야 성과관리시스템
운영 전문과정
융합연계형 교수단위 행정학부 박정호 교수
02-2287-6147
fulled@smu.ac.kr
공공기관 성과 관리를 위해 필요한 핵심적인 이론 학습과 성과관리 실무역량을 제고하고, 통합된 성과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축과 모델링을 학습함으로써, 공공기관에 특화된 성과관리 시스템 운영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AT0031 전력기획과혁신 3 전공 행정학부
HAAT0016 인적자원관리론 3 전공 행정학부
HAAT0024 재무행정론 3 전공 행정학부
HAIE0037 데이터베이스 3 전공 휴먼지능정보공학전공
HAMD0002 공공기관성과관리실습(캡스톤디자인) 3 1MD 해당 마이크로전공
17 데이터리터러시 융합연계형 교수단위 문헌정보공학전공 이명호 교수
02-781-7566
josephlee@smu.ac.kr
데이터 활용 기술이 일상과 산업에 각광받음에 따라 데이터 관점에서의 비즈니스 문제를 관찰분석하여 데이터 구조와 원리를 이해하고 데이터 시각화 기술을 활용할 수 있으며, 해당 영역에 관한 전문 지식을 지닌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QA0004 데이터사이언스개론 3 전공 문헌정보학전공
HAAE5005 경영전략 3 전공 경영학부
HAAE5002 경영소프트웨어활용 3 전공 경영학부
HAIE0002 지능정보공학설계 3 전공 휴먼지능정보공학전공
18 아동상담 자기전공활용형 교육단위 가족복지학과
02-2287-5254
가족의 붕괴, 개인정신건강 문제, 환경 및 사회적문제 등으로 인한 부정적인 결과가 아동의 심리적응 문제 및 발달장애 등으로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어, 가족과 아동을 위한 휴먼서비스를 진로로 하는 학습자를 위해 아동상담의 기초적 소양을 지닌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AL9228 아동상담 3 전공 가족복지학과
HAQG0008 놀이치료 3 전공 가족복지학과
HAAL0007 상담이론 3 전공 가족복지학과
HAAL9224 영유아발달 3 전공 가족복지학과
HAQB0004 아동생활지도 3 전공 가족복지학과
19 바이오메디컬 푸드 융합연계형 교수단위 식품영양학전공 최현선 교수
02-2287-6155
hsc1970@smu.ac.kr
코로나 19 팬데믹 및 인구고령화, 평균수명 증가에 따른 건강과 면역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메디푸드 또는 건강기능식품의 사회적 필요성과 수요자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이에 따라 바이오 메디컬/건강기능성식품 산업의 전반적인 트랜드와 포괄적 이해, 현장의 수요를 반영한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함 HBWA0002 건강기능식품학 3 1MD 해당 마이크로전공
HABT0031 면역학 3 전공 생명공학전공
HACL0001 생리학 3 전공 식품영양학전공
HACL6017 고급식품학 3 전공 식품영양학전공
HALF0503 식생화과건강 3 교양 식품영양학전공
20 공간 빅데이터 활용
로컬 콘텐츠 개발
자기전공활용형 교육단위 공간환경학부
02-2287-5047
본교가 위치한 서울 도심의 성격과 산업적 수요를 반영하여 지역의 특성과 문화를 반영한 로컬 콘텐츠 기획제작 역량 제고 및 지역 브랜드 가치와 상생 성장을 도모할 수 있도록 공간 빅데이터 기반 지역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는 능력을 갖춘 전문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SP0019 공간빅데이터분석과인공지능 3 전공 공간환경학부
HASP0009 관광과여가공간의이해 3 전공 공간환경학부
HAFU0028 공제공간의이해 3 전공 공간환경학부
HASP0036 건강과공간환경 3 전공 공간환경학부
HASP0018 공간정보의시각화 3 전공 공간환경학부
21 미래형 스마트시티 융합연계형 교수단위 공간환경학부 정수열 교수
02-2287-5294
sychung@smu.ac.kr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도시의 지속가능성 확보와 효율적 운영, 도시민의 삶의 질 향성을 위한 정보통신기술 기반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 및 스마트도시 전문 인력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급증하고 있음. 이에 따라 첨단 IT기술과 연계한 도시의 친환경성, 안정성, 편리성 등 데이터 네트워크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도시 자원과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스마트 시티 전문 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AT0053 공공데이터의이해 3 전공 행정학부
HAUS0001 공간정보학개론 3 전공 공간환경학부
HASP0002 도시와인문환경 3 전공 공간환경학부
HASP0017 공간정보와자료분석 3 전공 공간환경학부
HASP0034 공간과사회 3 전공 공간환경학부
22 문화콘텐츠아카이빙 융합연계형 교수단위 문헌정보학전공 박옥남 교수
02-781-7564
ponda@smu.ac.kr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문화와 예술, 비즈니스 간 결합이 각광받는 시대 흐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문화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수집, 정리, 보존하고 이를 활용한 연구, 교육,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 기여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 아카이브 분야의 전문가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FU0020 라키비움의이해 3 전공 역사콘텐츠전공
HAAH0010 기록관리 3 전공 문헌정보학전공
HADD0004 디지털큐레이션의이해 3 전공 문헌정보학전공
HAAA9232 디지털문화유산과인공지능 3 전공 디지털인문정보융합전공
23 시니어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 기획자 양성
자기전공활용형 교수단위 문헌정보학전공 박옥남 교수
02-781-7564
ponda@smu.ac.kr
급격한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기성시대와 젊은 세대 간 디지털 격차가 심화됨에 따라, 사회적 디지털 격차를 해소 및 노인의 디지털 학습을 위한 노인 맞춤형 프로그램 기획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AH6006 주제별전보원 3 전공 문헌정보학전공
HAAH3221 온라인정보검색 3 전공 문헌정보학전공
HAAH9223 콘텐츠기획및마케팅 3 전공 문헌정보학전공
HALF0104 정보조사와보고서작성 3 교양 문헌정보학전공
미정 시니어디지털리터러시교육프로그램기획및운영 3 1MD 해당마이크로전공
24 사회적 약자를 위한
공간복지 플래닝
융합연계형 교수단위 공간환경학부 이윤재 교수
02-781-7533
lee266@smu.ac.kr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양극화가 심화되는 사회에서 사회적 약자로 불리는 노인, 여성, 아동, 청소년, 장애인 등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온전히 수행할 수 있도록 공간복지 플래닝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사회적 약자에게 최적화 된 공간복지를 실천할 수 있는 현장중심형 전문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SP0036 건강과공간환경 3 전공 공간환경학부
HASP0011 공간환경복지 3 전공 공간환경학부
HASP0023 특수공간환경계획 3 전공 공간환경학부
25 전시기획 자기전공활용형 교육단위 조형예술전공
02-2287-5302
다양한 미술 영역 및 현장에서 활용되는 전시의 기획, 조직, 운영 평가 등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학습하고 전시를 통해 예술 작품의 대중화, 참여형 전시를 통한 관객 간 상호작용을 계획 및 시행할 수 있는 전문적인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FU0020 라키비움의이해 3 전공 조형예술전공
HADA9004 현대예술의쟁점 3 전공 조형예술전공
HADA9213 미술과현장 3 전공 조형예술전공
26 미디어컨텐츠제작 자기전공활용형 교육단위 조형예술전공
02-2287-5302
현대 미디어 산업에서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제공하여 미디어 콘텐츠 제작 분야에서의 전문성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DA9238 미디어리터러시 3 전공 조형예술전공
HADA0028 뉴미디어아트 3 전공 조형예술전공
HADA0045 미디어기법 3 전공 조형예술전공
27 커플 및 가족상담 사회맞춤형
-자격증형
교수단위 가족복지학과 최연실 교수
02-2287-5317
yschoi@smu.ac.kr
정보화 사회로 전환됨에 따라 사람들 간 관계를 맺는 능력이 퇴화하면서 관계에 초점을 둔 상담방법인 컴플 및 가족상담이 주목받으며 사회적 요구 또한 높아지고 있는 추세로 가족상담사 민간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과과정 운영을 통해 관련 직종의 우수한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AL6002 가족상담 및 치료 3 전공 가족복지학과
HAAL0007 상담이론 3 전공 가족복지학과
HAAL0003 가족관계 3 전공 가족복지학과
HAAL0034 가족복지 3 전공 가족복지학과
HABE1122 인간발달과교육 3 전공 교육학과
28 공감 커뮤니케이션 융합연계형 교수단위 가족복지학과 최연실 교수
02-2287-5317
yschoi@smu.ac.kr
인류 사회는 인간의 공간적 이해와 소통 능력으로 지속적인 발전을 이룰만큼 사회적 공감과 소통능력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공감과 소통능력과 관련한 지식을 습득하고 실제적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훈련, 더 나아가 소셜인공지능 영역까지 탐구함으로써 급격히 변화하는 사회에서 타인과 조화를 이루고 공존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AL0007 상담이론 3 전공 가족복지학과
HALF9358 휴먼커뮤니케이션 3 전공 국어교육과
HAIE0039 소셜인공지능 3 전공 휴먼지능정보공학전공
29 청소년 상담 사회맞춤형
-자격증형
교수단위 가족복지학과 최연실 교수
02-2287-5317
yschoi@smu.ac.kr
청소년의 심리정서적 부적응과 행동문제가 나날이 심각해지는 상황으로 청소년들의 올바른 성장을 위한 대책이 사회적 요구로 대두됨에 따라 청소년상담 소양 함양과 관련 직종 자격증 취득을 위한 학습과정을 통해 청소년상담의 전문적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AL0007 상담이론 3 전공 가족복지학과
HAAL0006 심리검사 3 전공 가족복지학과
HAAL9002 집단상담 3 전공 가족복지학과
HABE1122 인간발달과교육 3 전공 교육학과
HAQG0006 청소년활동론 3 전공 교육학과
30 디지털심리치료 융합연계형 교수단위 가족복지학과 최연실 교수
02-2287-5317
yschoi@smu.ac.kr
코로나 19 팬데믹 이후 서양권 상담 분야에서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디지털 상담치료가 각광받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의 상담이나 심리치료의 기본 지식을 토대로 AI시대의 신기술과 접목하여 디지털 심리치료 분야의 우수한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AL0007 상담이론 3 전공 가족복지학과
HAQG0003 정신건강 3 전공 가족복지학과
HAIE0012 인지공학 3 전공 휴먼지능정보공학전공
HAFU0025 바이오시스템 3 전공 휴먼지능정보공학전공
31 공공기관 관리자 역량강화 과정 사회수요맞춤형 교육단위 행정학부
02-2287-5399
공공기관의 진로 진출을 희망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공공기관의 운영과 효과적 관리 이론 영역과 현장전문가를 통한 실무역량 제고를 목적으로 함 HAAT0023 공공관리론 3 전공 행정학부
HAAT0027 행정법1 3 전공 행정학부
HAAT0026 조직행태론 3 전공 행정학부
HAAT0006 역량강화실습론(캡스톤디자인) 3 전공 행정학부
미정 공공기관관리역량실습 3 1MD 해당 마이크로전공
32 드론 활용 원격탐사 자기전공활용형 교수단위 공간환경학부 김민호 교수
02-781-7563
mhkim@smu.ac.kr
4차 산업혁명으로 무인항공기를 통한 공간정보 자료 생산의 효율화 증진과 신산업 창출을 위한 공간정보 융복합 첨단 기술 개발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드론의 활용, 드론 수집 데이터 처리, 가시화 및 콘텐츠 제작 등의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드론 관련 직종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SP0024 원격탐사영상처리 3 전공 공간환경학부
HASP0012 환경과공간정보의이해 3 전공 공간환경학부
HASP0014 지형과측량 3 전공 공간환경학부
HADD0001 디지털인문학개론 3 전공 역사콘텐츠전공
33 유아교육전문가 자기전공활용형 교육단위 가족복지학과
02-2287-5254
돌봄수업 등 영유아들을 대상으로 개별적 교육 개입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학습자의 전공 지식을 바탕으로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활동 계획, 실무 역량 제고를 도모함으로써 영유아 교육 전문가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AL9224 영유아발달 3 전공 가족복지학과
HAAL0004 보육과정 3 전공 가족복지학과
HAAL6006 영유아교수방법론 3 전공 가족복지학과
34 인공지능 미디어 자기전공활용형 교육단위 지능IOT융합전공
02-2287-5392
4차 산업혁명으로 사회 및 산업체에서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으로 미디어 분야에 특화된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전공 역량과 실무역량 제고를 도모함으로써 미디어 분야의 인공지능 기술 관련 전문가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EM0019 지능형영상처리 3 전공 지능IOT융합전공
HAEM0023 지능형오디오처리 3 전공 지능IOT융합전공
HAEM0032 지능미디어융합프로젝트 3 전공 지능IOT융합전공
35 문화콘텐츠마케팅 융합연계형 교수단위 공간환경학부 정희선 교수
02-2287-5057
hchung@smu.ac.kr
문화콘텐츠 산업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콘텐츠 마케팅 이론과 소비자 개발 전략, 혁신적 사고 능력을 갖춘 문화콘텐츠 마케터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AM5009 디지털마케팅론 3 전공 글로벌경영학과
HAAH9223 콘텐츠기획및마케팅 3 전공 문헌정보학전공
HASP0042 관광공간의스토리텔링과콘텐츠 3 전공 공간환경학부
36 SW융합 문화콘텐츠 제작 자기전공활용형 교육단위 한일문화콘텐츠전공
02-2287-5116
관광, 광고, 미디어, 출판, 언론 등 다양한 문화적 정보를 활용해 SW융합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는 역량을 제고하여 학생들의 콘텐츠 제작에 대한 시야를 확장하고 콘텐츠 제작 관련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BH0003 콘텐츠기획과문화융합 3 전공 한일문화콘텐츠전공
HABH0006 문화여행과sw콘텐츠기획 3 전공 한일문화콘텐츠전공
HABH0031 한일문화와웹페이지및기타콘텐츠제작 3 전공 한일문화콘텐츠전공
37 영상미디어&문화 융합연계형 교수단위 한일문화콘텐츠전공 조규헌 교수
02-781-7551
jgh@smu.ac.kr
뉴미디어 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동영상콘텐츠 기획 및 제작과 함께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활용 능력을 함양한 융합인재 양성을 목표로 함 HALF9351 미디어와콘텐츠창작 3 교양 계당교양교육원
HALF9287 컴퓨터활용능력(영상콘텐츠기획&제작) 3 교양 계당교양교육원
HABH0044 영상콘텐츠제작과한일문화교류 3 전공 한일문화콘텐츠전공
HABH0041 동영상플랫폼과콘텐츠문화 3 전공 한일문화콘텐츠전공
HABH0053 한일문화콘텐츠기획실습 3 전공 한일문화콘텐츠전공
38 디자인경영 융합연계형 교수단위 글로벌경영학과 김효정 교수
02-781-7524
hjkim@smu.ac.kr
디자인경영의 과정에 기반하여, 학생들이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이를 ICT를 활용하여 시장성 있는 사업 아이템으로 구현하며, 마지막으로 해당 사업을 작은 규모로 실행할 수 있는 일련의 과정을 학생들에게 경험을 제공하여 IT역량을 갖춘 기업가로서의 진로 개발을 목적으로 함 HAAM0014 혁신경영과글로벌기업가정신 3 전공 글로벌경영학과
HAIE0026 웹프로그래밍 3 전공 휴먼지능정보공학전공
HAAM9231 조직이론_이론과실제 3 전공 글로벌경영학과
39 사이버보안 융합연계형 교수단위 컴퓨터과학전공 강상욱 교수
02-781-7588
sukang@smu.ac.kr
디지털전환(DX)이 가속화되면서 새로운 사이버 공격도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에 대응하는 사이버 보안 대응 인력을 양성하고 관련 분야로의 진출을 활성화하고자 함 HAEA9237 컴퓨터수학 3 전공 컴퓨터과학전공
HAEA9227 정보보호 3 전공 컴퓨터과학전공
HAGH0030 네트워크보안 3 전공 컴퓨터과학전공
HAFI0045 해킹과바이러스 3 전공 핀테크전공
HAAE9012 IT경영과혁신 3 전공 경영학부
40 인공지능전문가인증 사회
수요
맞춤형
-
자격증형
교수단위 휴먼지능정보공학전공 권지은 교수
02-781-7753
jieun@smu.ac.kr
인공지능 분야에서 관련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하여 인공지능 자격증을 중심으로 사회와 기업에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과정이 필요한 상황임. AICE(AI Certificate for Everyone)는 KT가 개발하고 한국경제가 함께 주관하는 인공지능 능력시험으로 본 마이크로전공에서는 BASIC, ASSOCIATE, PROFESSIONAL 레벨의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하여 인공지능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 능력을 함양할뿐만 아니라,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직접적인 커리어를 갖춘 전문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함 HAKT0001 AI+X선도인재양성기초프로젝트 3 전공 AI+X융합센터
HAIE0047 신호패턴인식 3 전공 휴먼지능정보공학전공
HAIE0043 UX분석 3 전공 휴먼지능정보공학전공
41 지속가능한식사디자인 자기전공활용형 교수단위 식품영양학전공 황지윤 교수
02-781-7521
jiyunhk@smu.ac.kr
전세계차원에서 지속가능한 식생활은 환경적으로도 인체의 건강과 웰니스를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독려되고 있음. 다양한 분야에서 요구되는 지속가능한 식사를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교과 과정을 신설하고자 함 HAIE0030 딥러닝 3 전공 휴먼지능정보공학전공
HACL0002 현대인의영양과건강 3 전공 식품영양학전공
HACL6001 영양교육및상담 3 전공 식품영양학전공
천안 1 단백질 생화학 자기전공활용형 교육단위 그린화학공학과
041-550-5311
생명공학 분야에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단백질에 대한 전공 지식은 동 분야 취업 기회가 늘어감에 다라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이들 기초지식에 대한 체계적인 구성을 목표로하며. 관련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목적이 있음. HBEC0021 기초생명공학Ⅰ 3 전공 그린화학공학과
HBEC0006 분자설계공학및실습(PBL) 3 전공 그린화학공학과
HBEC0018 생명공학및실험Ⅰ 4 전공 그린화학공학과
HBEC0010 유기화학 3 전공 그린화학공학과
2 신에너지 자기전공활용형 교육단위 그린화학공학과
041-550-5311
신에너지 분야는 최근 사회 수용성 증가로 인한 산업계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전문 인력 수급이 요청되고 있어 해당 분야의 전공지식을 체계적으로 전달 하는것을 목적으로 함. HBJG4143 에너지변환공학(이론) 3 전공 그린화학공학과
HBJG4121 전기화학공학 3 전공 그린화학공학과
HBEC0020 화학공학양론 3 전공 그린화학공학과
HBEC0019 화학반응공학및연습 3 전공 그린화학공학과
3 비전공자용 화학기초 자기전공활용형 교육단위 그린화학공학과
041-550-5311
우리나라에서는 화학관련 산업분야가 많고 , 기초과학으로서의 화학이 광범위하게 산업현장에서 활용되고 있음. 화학분야에 관심이 있는 타전공생들을 포함하여 고등학교 화학 교과보다는 심화된 화학관련 기초지식을 습득하여 유관 산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함. HBEC0010 유기화학 3 전공 그린화학공학과
HBEC0029 일반화학및연습I 4 전공 그린화학공학과
HBEC0030 일반화학및연습II 4 전공 그린화학공학과
HBJG4148 화공분석화학 3 전공 그린화학공학과
4 국제개발협력과 지속가능개발 사회수요맞춤형
-자격증형
교수단위 소프트웨어학과 백선욱 교수
041-550-5366
paeksu@smu.ac.kr
KOICA 에서는 'ODA 일반' 자격증 소지자 에 대해 많은 우대 혜택을 부여하고 있음(oda.koica.go.kr 참조). KOICA에서 발급하는 자격증은 국제 개발협력 분야로의 취업 및 진출을 지원하고자 하는데 도움이 됨 본 마이크로전공은 이러한 자격취득을 목적으로 하고있음. HBVC0001 SDGs기반 국제협력과문화커뮤니케이션 3 1MD 해당 마이크로전공
HBRA1001 사회봉사 1 교양 글로벌인문학부대학
HBLG2048 영상으로보는국제개발협력이슈 3 일선 소프트웨어학과
HBOA1005 적정디자인&적정기술기반융복합프로젝트 2 전공 교무팀
5 비즈니스영어 자기전공활용형 교육단위 영어권지역학전공
041-550-5138
영어권 지역학 전공분야에서 비즈니스 영어 마이크로 학위 프로그램을 도입한 본 프로그램은 단기 실용 교육과정으로 특성화 교육을 통해 창의적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고, 실무능력을 향상시키며, 현대 취업시장의 요구에 부합하는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하고 있음. HBHB4536 글로벌커뮤니케이션 2 전공 영어권지역학전공
HBHB4512 비즈니스스피킹 3 전공 영어권지역학전공
HBHB4534 비즈니스영어독해 3 전공 영어권지역학전공
HBHB4516 영어권ESG기업문화와콘텐트마케팅(캡스톤디자인) 3 전공 영어권지역학전공
HBHB4538 컨벤션영어 3 전공 영어권지역학전공
6 영상미디어번역 융합연계형 교육단위 영어권지역학전공
041-550-5138
글로벌 동영상 콘텐츠 제작에 필수로 자리잡은 더빙, 자막번역전문가 분야의 전문교육과정이 4년제 대학과정에 전무하고, 관련 시장을 선도한다는 취지에서 미디어 번역교육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함. HBHB4527 영상번역과대중문화 3 전공 영어권지역학전공
HBHB4537 영상번역입문 3 전공 영어권지역학전공
HBHB4521 영-한통번역입문 3 전공 영어권지역학전공
HBHB4523 영희곡과더빙번역 3 전공 영어권지역학전공
HBHA2172 한국어문법론 3 전공 한국언어문화전공
7 패션실무 자기전공활용형 교육단위 패션디자인전공
041-550-5199
패션산업의 실무 체험을 목적으로 패션디자인 전공 내 교과과목들을 함축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으로함. HBIC2162 디지털패션디자인(PBL) 3 전공 패션디자인전공
HBIC4360 패션워크샵Ⅱ(캡스톤디자인) 3 전공 패션디자인전공
HBIC3022 패턴CAD(캡스톤디자인) 3 전공 패션디자인전공
8 글로벌문화관광해설사  사회수요맞춤형-자격증형 교육단위 프랑스어권지역학전공
041-550-5154
해외 테마여행 등 우리의 해외여행 스타일이 기존의 패키지 여행에서 자유여행 형태로 바뀌고 있다는 점에서, 현재의 언어와 지역학 차원의 지식뿐만 아니라 기획 능력을 겸비한 글로벌 문화관광 해설사의 사회적 수요가 커지고 있어 이와 관련된 자격증 취득을 목적으로함. HBHI0008 글로벌문화콘텐츠기획 3 전공 글로벌문화콘텐츠연계전공
HBKE0047 문화예술기획(PBL) 3 전공 문화예술경영전공
HBKE0027 문화예술기획(캡스톤디자인) 3 전공 문화예술경영전공
HBHC4483 프랑스어첫걸음 3 전공 프랑스어권지역학전공
HBHC4473 현대프랑스의사회와문화 3 전공 프랑스어권지역학전공
9 마이크로환경공학 융합연계형 교수단위 그린화학공학과 오세원 교수
041-550-5310
sewonoh@smu.ac.kr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복잡한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전문인력 양성과 융합을 통한 창의적인 분야에 대한 적응력 향상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함. HBJG4107 대기오염제어공학 3 전공 그린화학공학과
HBJG4112 상하수도공학및지역현장실습Ⅰ 3 전공 건설시스템공학과
HBEC0016 에어로졸공학 3 전공 그린화학공학과
10 IT통신시스템 자기전공활용형 교육단위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041-550-5548
IT 산업을 국가 주력 산업을 하는 대한민국에서 IT 산업의 근간이 되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을 전문적으로 학습한 전공인재 양성 을 목적으로함. HBJM2092 네트워크설계 3 전공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HBJM2095 무선통신시스템 3 전공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HBJM2084 신호및시스템 3 전공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HBJM2141 통신시스템설계 3 전공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11 AI를 위한 창의 데이터 소프트웨어 설계 기초 자기전공활용형 교육단위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041-550-5548
IT 교육과정에서 컴퓨팅 적 사고능력 배양을 위하여 기초프로그래밍 교육을 시행하고, 자료의 표현과 특성에 맞는 구조 학습을 위해 자료구조를 교육하고, 교육과정 마지막의 프로그래밍 설계 교과를 통해 문제를 정의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적합한 자료구조를 선택하여 설계하는 실습으로 컴퓨팅 사고력, 문제 해결능력, 창의력의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함. HBMA1007 C프로그래밍(PBL) 3 전공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HBMA1018 고급 C프로그래밍 3 전공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HBJM2143 데이터베이스 3 전공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HBJM2133 자료구조설계(SW) 3 전공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12 데이터분석 전문가 사회수요맞춤형_자격증형 교육단위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041-550-5548
오늘날 데이터 처리 및 분석을 통한 데이터 활용은 생산성 향상, 고부가가치 및 고용 창출등 국가 경제적 가치 창출의 핵심동력으로 급부상하고 있으며, 데이터의 다각적 분석을 통해 조직의 전략방향을 제시하는 우수한 역량을 갖춘 데이터분석 전문가의 확보를 목적으로 함. HBJM2143 데이터베이스 3 전공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HBSM0002 데이터분석 3 전공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HBJM2140 알고리즘 3 전공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13 정보통신 응용분야 AI 자기전공활용형 교육단위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041-550-5548
AI/인공지능 교과목을 마이크로전공으로 묶어 이수 체계를 구체화 하여.파이썬 프로그래밍으로부터 일반적인 머신 러닝 지식으로부터 무선통신과 이미지 처리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는 AI모델까지 기초부터 심화내용 학습을 통해 모든 산업분야에 적용되는 AI를 활용하는 방법론을 학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HBMA1018 고급 C프로그래밍 3 전공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HBJM2148 머신러닝 3 전공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HBSM0003 지능비전시스템 3 전공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HBSM0001 지능형시스템개론 3 전공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14 지능형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자기전공활용형 교육단위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041-550-5548
본 과정은 IoT,AI,6G로 대변되는 미래 사회의 다양한 이종간 시스템과 기기들의 상호통신 기술에 대해 이론적 학습과 자기주도적 설계를 통한 실제 시스템 구현을 경험해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인공지능과의 접목을 통해 향후 도출될 수 있는 여러 문제들을 구상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문제해결형 인재 양성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HBJM2146 네트워크보안 3 전공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HBJM2092 네트워크설계 3 전공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HBJM2095 무선통신시스템 3 전공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HBJM2139 정보통신응용SW프로젝트 3 전공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15 풀스택 웹 개발자 자기전공활용형 교육단위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041-550-5548
최근 웹 개발 분야에서는 변화하는 기술에 맞춰 데이터베이스 웹 프론트엔드 및 백엔드 개발과 배포까지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하고 웹서비스 전반을 개발할 수 있는 풀스택 개발자를 지향하고 있으며, 기업 수요와 기술발전의 흐름에 맞춰 전통적인 웹 개발 기술을 익히고 최신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풀스택 웹개발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함. HBMA1008 객체지향프로그래밍(PBL) 3 전공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HBJM2145 서버프로그래밍 3 전공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HBJM2137 웹프레임워크설계 3 전공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HBJM2144 웹프로그래밍 3 전공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16 AI융합 비주얼디자인 자기전공활용형 교육단위 커뮤니케이션디자인전공
041-550-5192
스크린과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시작이미지 생성이 활발하나, 아직 그에 따른 다양한 디자인 방법론이 정립되지 않아 디자인 전공생조차 시각적 질서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음. 탈중앙화가 강조되는 웹 3.0 시대의 개인맞춤형 온라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양한 기획과 전략, 디지털 시각이미지 생성 교육을 목적으로 함. HBIW0001 내러티브디자인 3 전공 트랜스미디어디자인융합전공
HBIA4599 시각문화디자인 3 전공 커뮤니케이션디자인전공
HBIW0003 웹미디어디자인 3 전공 트랜스미디어디자인융합전공
HBIA4346 타이포그래피 3 전공 커뮤니케이션디자인전공
17 공간컴퓨팅 프로덕트디자인 융합연계형 교육단위 커뮤니케이션디자인전공
041-550-5192
공간 컴퓨팅 또는 spatial computing은 현실 공간과 디지털 정보를 융합하여 상호작용하는 컴퓨팅 환경을 말함. 이러한 공간 컴퓨팅 프로덕트 디자인 마이크로전공의 신설목적은 가까운 미래에 다가올 공간 컴퓨팅에서 요구될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필요한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데 있음. HBIT0005 3D모델링Ⅱ 3 전공 AR·VR미디어디자인전공
HBIT0006 가상현실기초프로그래밍 2 전공 AR·VR미디어디자인전공
HBIW0002 모션그래픽스모델링 3 전공 트랜스미디어디자인융합전공
HBIA3141 사용자중심디자인(캡스톤디자인) 3 전공 커뮤니케이션디자인전공
HBIW0003 웹미디어디자인 3 전공 트랜스미디어디자인융합전공
18 디지털프로덕트디자인  자기전공활용형 교육단위 커뮤니케이션디자인전공
041-550-5192
비대면 온라인 모바일 중심의 앱 서비스가 발전하는 현 산업트렌드에 부합하기 위해 과거 제품 중심의 프로덕트가 아닌, 소프트웨어 혹은 디지털 프로덕트라고 불리는 모바일 앱 관련 UX 기획, 전략, 나아가 UI 화면설계와 프로토타입 능력을 함양 하고 해당 직업군 채용에 필요한 실무형 UX/UI포트폴리오 제작 등의 현장 중심 실무 교육을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 HBIA3141 사용자중심디자인(캡스톤디자인) 3 전공 커뮤니케이션디자인전공
HBIW0003 웹미디어디자인 3 전공 트랜스미디어디자인융합전공
HBIA3142 정보인터랙션디자인 3 전공 커뮤니케이션디자인전공
19 서비스경험디자인  융합연계형 교육단위 커뮤니케이션디자인전공
041-550-5192
서비스경험디자인은 고객이 유무형의 서비스를 경험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고객과 서비스가 접촉하는 요소를 도출하고 분석하여 서비스 기획을 기반으로 경험을 디자인하는 것을 목적으로함. HBIA4343 소셜이노베이션디자인(캡스톤디자인) 3 전공 커뮤니케이션디자인전공
HBIA4598 디자인씽킹 3 전공 커뮤니케이션디자인전공
HBIA4340 브랜드경험디자인(PBL) 3 전공 커뮤니케이션디자인전공
HBIT0008 AR‧VR서비스기획론 3 전공 AR·VR미디어디자인전공
20 비전AI 융합연계형 교수단위 소프트웨어학과 이성주 교수
041-550-5248
peacfeel@smu.ac.kr
현대 산업의 요구에 부응하여 비전AI개발에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취업 기회를 확장을 목적으로함. HBJY0006 선형대수 3 전공 로봇AI융합전공
HBJY0002 언어지능의이해와응용(PBL) 3 전공 로봇AI융합전공
HBJO0053 영상처리(PBL) 3 전공 소프트웨어학과
21 데이터과학 융합연계형 교수단위 소프트웨어학과 이성주 교수
041-550-5248
peacfeel@smu.ac.kr
현대산업의 요구에 부응하여 데이터과학 분석 및 응용에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취업 기회를 확장을 목적으로함. HBJO2219 데이터과학개론(PBL) 3 전공 소프트웨어학과
HBJY0001 시각지능의이해와응용(PBL) 3 전공 로봇AI융합전공
HBJO2207 지능형소프트웨어(PBL) 3 전공 소프트웨어학과
22 메타버스컨텐츠 융합연계형 교육단위 소프트웨어학과
041-550-5548
메타버스 환경에서 캐릭터와 주변 사물을 생성하고 상호작용을 하는 과정에서 소프트웨어적인 개념과 디자인 요소가 필수적임. 이를 융합하여 필요 기술습득을 목적으로함. HBIT0018 AR‧VR디자인프로그래밍응용 3 전공 AR·VR미디어디자인전공
HBJO2224 컴퓨터그래픽스(PBL) 3 전공 소프트웨어학과
HBJO2161 컴퓨터프로그래밍Ⅱ(PBL) 3 전공 소프트웨어학과
23 메타버스AI 융합연계형 교육단위 소프트웨어학과
041-550-5548
메타버스 환경은 사용자가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함.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요구사항들이 발생하며, 이를 충족하는 것이 중요함. 문제점을 확인하고 , 이를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디자인적으로 해석하는 능력을 습득하는것을 목적으로함. HBIT0013 AR‧VR디자인프로그래밍Ⅱ 3 전공 AR·VR미디어디자인전공
HBJO2207 지능형소프트웨어(PBL) 3 전공 소프트웨어학과
HBJO2173 컴퓨터프로그래밍Ⅰ(PBL) 3 전공 소프트웨어학과
24 앱/웹 프로그래밍 자기전공활용형 교육단위 소프트웨어학과
041-550-5548
현대 산업의 요구에 부응하여 앱 및 웹 개발에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취업 기회를 확장을 목적으로함. HBJO2209 모바일프로그래밍 3 전공 소프트웨어학과
HBJO0052 웹서버프로그래밍(PBL) 3 전공 소프트웨어학과
HBJW0008 웹프로그래밍 3 전공 소프트웨어학과
25 임베디드IOT 자기전공활용형 교육단위 소프트웨어학과
041-550-5548
현대 산업의 요구에 부응하여 임베디드 IoT 기술 개발에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취업 기회를 확장하는것을 목적으로함. HBJW0012 리눅스프로그래밍(PBL) 3 전공 소프트웨어학과
HBJO2218 병렬프로그래밍(PBL) 3 전공 소프트웨어학과
HBJO2205 임베디드loT프로그래밍(PBL) 3 전공 소프트웨어학과
26 UX/UI SW 개발 자기전공활용형 교육단위 소프트웨어학과
041-550-5548
현대 산업의 요구에 부응하여 UX/UI 개발에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취업 기회를 확장하는것을 목적으로함. HBJO2223 소프트웨어공학(PBL) 3 전공 소프트웨어학과
HBJW0021 인간-컴퓨터 상호작용(PBL) 3 전공 소프트웨어학과
HBJO2224 컴퓨터그래픽스(PBL) 3 전공 소프트웨어학과
27 AR·VR미디어디자인프로그래밍 자기전공활용형 교육단위 AR·VR미디어디자인전공
041-550-5369
AR.VR 미디어디자인은 AR(증강현실), VR(가상현실), MR(혼합협실), XR(확장현실)등 범용 기술과 복합체로서, 경제활동 공간이 현실에서 가상융합공간까지 확장되어 새로운 경험과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디자인 및 문화예술 분야에 첨단 기술을 접목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최첨단 분야로서, 산업의 중요성이 확대됨에 따라 AR.VR 미디어디자인 프로그래밍 마이크로를 전공한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함. HBIT0009 AR‧VR디자인프로그래밍Ⅰ 3 전공 AR·VR미디어디자인전공
HBIT0013 AR‧VR디자인프로그래밍Ⅱ 3 전공 AR·VR미디어디자인전공
HBIT0018 AR‧VR디자인프로그래밍응용 3 전공 AR·VR미디어디자인전공
HBIT0006 가상현실기초프로그래밍 2 전공 AR·VR미디어디자인전공
28 금융빅데이터분석 사회수요맞춤형-산학연계형 교육단위 경영공학과
041-550-5311
경영공학과에서 금융 분야로 진출하는 비율의 확대와 교육적 수전의 향상 그리고 조기의 학.석사 연계 교육 등으로의 진입 분위기 전환 등을 위해서 금융빅데이터분석(Financial Big Data Analysis) 마이크로 전공을 개설함. 기존의 금융공학, 금용AI실습, 경영빅데이터분석 등으로 마이크로 전공 교과과정을 구성하고 차후 필요에 따라서 추가적인 개편을 통해서 환류 시스템을 구축하는것을 목적으로 함. HBJP2287 경영빅데이터분석 3 전공 경영공학과
HBJP2290 금융AI 3 전공 경영공학과
HBJP2257 금융공학 3 전공 경영공학과
HBJP2245 재무관리(경영공학과) 3 전공 경영공학과
29 디지털마케팅애널리틱스 자기전공활용형 교육단위 경영공학과
041-550-5311
경영공학과 전공 학생들에게 디지털 마케팅을 집중적으로 학습하고 자신의 역량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 제공하고, 마케팅 역량, DX 역량, 비즈니스 애널리틱스 분석 역량을 종합적으로 갖춘 디지털 마케팅 분석 전문가 양성하며,디지털마케팅과 마케팅 애널리틱스에 관심 있는 다양한 분야의 타 전공 학생들에게는 이 분야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 제공하는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 HBJP2151 경영데이터분석기초 3 전공 경영공학과
HBJP2252 경영정보시스템 3 전공 경영공학과
HBJP2274 경영통계분석실습(PBL) 3 전공 경영공학과
HBJP2253 마케팅(경영공학과) 3 전공 경영공학과
30 금융상품모델링 융합연계형 교수단위 경영공학과 유재필 교수
041-550-5210
jaepilyu@smu.ac.kr
금융 시장에서는 다양한 상품의 가치평가, 위험관리, 포트폴리오 최적화 등을 수행하는 핵심기술이 필수적이며, 실제 시장 데이터와 통계적 모델, 컴퓨터 프로그래밍등을 활용하여 정확하고 유용한 모델을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 기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무 경험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실제 금융 시장에서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갖출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HBJP2290 금융AI 3 전공 경영공학과
HBJP2257 금융공학 3 전공 경영공학과
HBJE3282 투자론 3 전공 글로벌금융경영학부
HBJE4475 회계원리 3 전공 글로벌금융경영학부
31 빅데이터와소셜미디어분석 융합연계형 교수단위 경영공학과 김길환 교수
041-550-5444
khkim@smu.ac.kr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마케팅 방법론과 빅데이터 기술을 융합하여 분석함으로써 기업 및 사회에 필요한 인사이트를 발굴해내는 융합형 비즈니스 전문가 양성과,소셜미디어의 텍스트의 분석(텍스트마이닝, 비즈니스를 위한 자연어처리)을 매개로 어문, 경영, 공학 계열의 학생들을 위한 융합형 과정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 HBJP2161 경영데이터마이닝 3 전공 경영공학과
HBJP2287 경영빅데이터분석 3 전공 경영공학과
HBJM2148 머신러닝 3 전공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HBLB5059 빅데이터와소셜마케팅 3 교양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32 지능형반도체 자기전공활용형 교육단위 시스템반도체공학과
041-550-5205
지능형 반도체는 병렬 프로세싱 구조의 반도체 아키텍처를 활용하여 높은 성능, 낮은 전력 소모로 AI 연산을 실행하는 시스템 반도체의 핵심부품으로 향후 미래 반도체 시장을 지배할 것으로 예상함.본 마이크로 전공은 이러한 분야에 대한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목적이 있음. HBEA0024 CMOSIC공정 3 전공 시스템반도체공학과
HBEA0014 CMOS트랜지스터(PBL) 3 전공 시스템반도체공학과
HBEA0008 MOSFET회로설계 2 전공 시스템반도체공학과
HBEA0038 MOSFET회로실험 2 전공 시스템반도체공학과
33 AI프로그래밍 및 프로젝트 자기전공활용형 교육단위 시스템반도체공학과
041-550-5205
AI(인공지능)기술이 실용화 됨에 따라 AI반도체의 수요가 늘고 있으며 관련 전공학생뿐만 아니라 비이공계 학생들에게 파이썬을 사용해 프로그래밍, 데이터 분석 등 실무교육과 딥러닝, 인공지능 등 새로운 기술교육을 시행을 목적으로하고 있음. HBEA0045 파이썬프로그래밍실습 1 전공 시스템반도체공학과
HBEA0043 알고리즘코딩테스트 3 전공 시스템반도체공학과
HBEA0026 인공지능기초 3 전공 시스템반도체공학과
HBEA0035 파이썬프로그래밍 2 전공 시스템반도체공학과
34 시스템반도체설계 자기전공활용형 교육단위 시스템반도체공학과
041-550-5205
2022년 기준 전체 반도체 시장에서 시스템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이 약 71.8% 수준이며, 향후 시스템반도체 비중은 점점더 커질 것으로 예상됨.2023년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자료에 따르면 국내 반도체 분야에서시스템 반도체 설계인력이 가장부족한것으로 판단하고 있음. 본 마이크로전공은 이러한 시스템반도체설계 전문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 HBEA0040 Linux운영체제및시스템프로그래밍(PBL) 3 전공 시스템반도체공학과
HBEA0032 FPGA프로젝트(PBL) 3 전공 시스템반도체공학과
HBEA0009 컴퓨터구조 3 전공 시스템반도체공학과
35 펌웨어설계 자기전공활용형 교육단위 정보보안공학과
041-550-5205
펌웨어 개발전문가는 전자, 자동차, 의료, 항공우주, 산업자동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임. 과거의 펌웨어 개발 전문가는 경력직이 대다수였으나 최근 ARM 프로세서 펌웨어 개발의 경우, 대졸 신입사원을 뽑는 분야로 바뀌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펌웨어 개발에 관련된 마이크로전공을 신설하여 취업의 길을 넓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 HBJQ0048 마이크로프로세서(PBL) 3 전공 정보보안공학과
HBJQ0059 보안칩설계 3 전공 정보보안공학과
HBJQ0046 지능형임베디드시스템(SW) 3 전공 정보보안공학과
HBJQ0053 컴퓨터아키텍처 3 전공 정보보안공학과
36 엔터테인먼트 경영 자기전공활용형 교육단위 문화예술경영전공
041-550-5426
한류문화산업의 변화와 트렌드에 맞서 학부생들의 엔터테인먼트 분야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관련 전문분야로 엔터테인먼트마이크로전공을 신설하여 교육하고자하는데 목적이 있음. HBKE0047 문화예술기획(PBL) 3 전공 문화예술경영전공
HBKE0046 문화전략 3 전공 문화예술경영전공
HBKE0016 문화콘텐츠경영 3 전공 문화예술경영전공
HBKE0049 엔터테인먼트경영 3 전공 문화예술경영전공
HBKE0050 한류문화산업 3 전공 문화예술경영전공
37 디지털 영상 콘텐츠 프로덕션 사회
수요
맞춤형
-
산학
연계형
교수단위 영화영상전공 이찬복 교수
041-550-5239
cblee@smu.ac.kr
동영상 콘텐츠와 미디어 플랫폼이 커뮤니케이션의 핵심이 된 현재,
동영상 구사능력은 제1외국어 능력만큼이나 필수적으로 각 분야에서 요구되고 있다. 이공계열이나 어문계열 등 자신의 전공 내의 역량이나 결과물을 동영상 콘텐츠로 제작할 수 있다면 취업과 진로에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할 수 있을 것이다.
HBOA1018 1인미디어기획및제작(캡스톤디자인) 3 전공 영화영상전공
HBVA0001 디지털 영상 콘텐츠 제작:EP1(PBL) 3 1MD 해당 마이크로전공
HBIG2272 디지털콘텐츠창작 3 전공 영화영상전공
HBIB2192 영상미디어실기Ⅰ(PBL) 3 전공 사진영상미디어전공
38 지능형 모빌리티 사회
수요
맞춤형
-
산학
연계형
교수단위 휴먼지능로봇공학과 강태구 교수
041-550-5405
tkkang@smu.ac.kr
충남 주력 산업분야인 스마트 모빌리티 분야 및 미래 국가 전략산업 중에 하나인
지능형 모빌리티 맞춤형 인재양성을 위한 마이크로디그리 신설
HBVD0001 강화학습 3 1MD 해당 마이크로전공
HBEB0060 스마트 모빌리티(PBL) 3 전공 휴먼지능로봇공학과
HBEB0058 항법시스템 3 전공 휴먼지능로봇공학과
HBEB0059 협동로봇실습 (PBL) 3 전공 휴먼지능로봇공학과
39 전시컨벤션 사회
수요
맞춤형
-
자격증형
교육단위 독일어권지역학전공 박정희 교수
041-550-5163
chpark@smu.ac.kr
포스트 코로나 시대가 열리면서 그동안 막혀있던 다양한 국내외 행사들이 봇물 터지듯 열리고 있다.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던 강의가 대면강의로 바뀌며 학생들의 사회진출에 대한 다양한 계획들을 목도하며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설계로 기존 강의에서 하지 못한 부분들에 학습욕구가 커지면서 주도적인 입장에서 할 수 있는 전시컨벤션을 지향하는 수요자들의 요구를 집약시켜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마이크로전공 과정을 신설하고자 한다. HBHE4368 독일어권기업문화론(캡스톤디자인) 3 전공 독일어권지역학전공
HBHE4417 독일의도시와축제 3 전공 독일어권지역학전공
HBKE0047 문화예술기획(PBL) 3 전공 문화예술경영전공
40 빅데이터분석및시각화 자기
전공
활용형
교수단위 전자공학과 전준헌 교수
041-550-5502
junheon@smu.ac.kr
빅데이터는 2000년 이후 4차산업혁명, 인공지능과 함께 가장 핵 심이 되는 분야 중 하나이다. 현재는 IT분야 뿐만 아니라 비IT 분 야에서도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시각화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리즈에 맞는 마이크로전공 신설을 목적
으로 한다.
HBLA5201 컴퓨터사고와데이터의이해 2 교양 계당교양교육원
HBLA5202 알고리즘과게임콘텐츠 2 교양 계당교양교육원
HBLG2021 인포메이션테크놀러지시대의디지털리터러시 3 교양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HBLB5066 파이썬빅데이터시각화 3 교양 계당교양교육원
41 공학설계 및 신호처리 자기
전공
활용형
교육단위 시스템반도체공학과
041-550-5205
공학 설계 및 신호 처리 전공은 시스템반도체(SoC; System on a Chip) 분야의 핵심 전공입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임베디드시스템은 스 마트폰, 태블릿 PC, CCTV, 자동차 블랙박스 등 산업 전반에 고루 사용되고 있으며, 인공지능과 자율주행자동차와 같은 첨단 분야의 핵심 부품으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제품들에는 반도체 프로세서의 역할이 점점 강조되고 있으며 반도체 설계의 이론적 토대인 신호 처리 능력은 핵심 지식으 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에 공학 설계 및 신호 처리 전공 마이크로전공을 신설하고자 합니다.
HBEA0031 ATmega시스템설계(IC-PBL) 3 전공 시스템반도체공학과
HBEA0034 디지털신호처리 3 전공 시스템반도체공학과
HBEA0010 아날로그신호처리 3 전공 시스템반도체공학과
42 보안SoC설계 융합
연계형
교육단위 정보보안공학과
041-550-5205
보안 SoC 설계 전공은 정보보안과 시스템반도체(SoC; System on a Chip) 분야가 합쳐진 첨단 정보기술(IT)
분야 전공입니다. SoC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CCTV, 자동차 블랙박스 등 산업 전반에 고루 사용되고 있으며, 인공지능과 자율주행자동차와 같은 첨단 분야의 핵심 부품으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제품들에는 정보보안의 역할이 점점 강조되고 있어 통신/영상보안, AI보안, 자동차보안 등의 전문가 양성이 필요합니다. 이에 맞추어 보안과 SoC를 융합한 보안 SoC 설계 마이크로전공을 신설하여 미래사회의 전문가 양성을 준비하고자 합니다.
HBEA0032 FPGA프로젝트(PBL) 3 전공 시스템반도체공학과
HBJQ0054 HDL설계 3 전공 정보보안공학과
HBEA0027 Verilog기반디지털시스템설계(PBL) 3 전공 시스템반도체공학과
HBJQ0016 보안알고리즘 3 전공 정보보안공학과
HBJQ0059 보안칩설계 3 전공 정보보안공학과
43 창의로봇디자인 자기
전공
활용형
교육단위 휴먼지능로봇공학과
041-550-5205
창의로봇디자인 마이크로전공은 로봇의 기구를 설계 및 제작하
교육고,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기초 제어 능력을 배양하고, 그룹
목표 레인 스토밍을 통해 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로봇을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 운영 로봇의 기구부에 대한
HBEB0019 기초제어프로그래밍(SW) 3 전공 휴먼지능로봇공학과
HBEB0017 로봇기구학및설계(PBL) 3 전공 휴먼지능로봇공학과
HBMA1028 창의로봇설계(IC-PBL) 3 전공 휴먼지능로봇공학과
44 화이트해킹기술 자기
전공
활용형
교수단위 정보보안공학과 서창진 교수
041-550-5445
cjseo@smu.ac.kr
최근 다양한 악성코드 및 시스템 취약점을 이용한 시스템 침투방법이 증가하고 있다. 본 마이크로 전공은 시스템 취약점 점검 도구, 인터넷응용보안, 시스템보안, 네트워크보안 능력을 가지는 윤리적 화이트 해커 양성을 위해 개설한다 HBJQ0043 네트워크보안(PBL) 3 전공 정보보안공학과
HBJQ0050 리눅스보안실습 3 전공 정보보안공학과
HBJQ0055 시스템보안 3 전공 정보보안공학과
HBJQ0058 인터넷응용보안 3 전공 정보보안공학과
45 AI악성코드분석 자기
전공
활용형
교수단위 정보보안공학과 서창진 교수
041-550-5445
cjseo@smu.ac.kr
기존의 악성코드 분석은 시그니처 기반의 정적, 동적 탐지기법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은 최근 다양하게 변화하는 악성코드 변종을 탐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마이크로 전공 목적은 악성코드 분석에 인공지능 기법을 도입하여 다양하게 변화하
는 악성코드 탐지를 위하여 개설한다.
HBJQ0021 머신러닝과정보보호 3 전공 정보보안공학과
HBJQ0056 악성코드분석 3 전공 정보보안공학과
HBMA1011 인공지능수학 3 전공 정보보안공학과
46 모바일WEBAPP응용개발 자기
전공
활용형
교수단위 정보보안공학과 서창진 교수
041-550-5445
cjseo@smu.ac.kr
웹서비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HTML표준이 꾸준히 발전하고 있지만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어하지 못하는 한계가 존재한다. 사용자들은 더 많은 모바일 서비스 성능을 요구하고 있어 모바일 Web/App 응용개발 마이크로 전공을 신설한다. HBJQ0019 데이터베이스실습 3 전공 정보보안공학과
HBJQ0025 모바일프로그래밍(PBL) 3 전공 정보보안공학과
HBJQ0012 웹프로그래밍(정보보안공학과) 3 전공 정보보안공학과
47 미디어아트 자기
전공
활용형
교육단위 디지털콘텐츠전공
041-550-5476
디지털콘텐츠 전공에서는 2023년에 이어 2024년에도 문화관광부 산하 한국예술인협회의 예술대학 예비예술인 현장연계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Art-Tech 인력양성을 위한 GLOCAL PROJECT>를 진행하게 되었으며, 본 사업의 일환으로 4차산업시대에 발맞추어 새로운 예술 분야로의 확장을 꾀 하고자 미디어아트 마이크로전공을 신설하고자 한다. HBVB0002 문화서비스기획(캡스톤디자인) 3 1MD 해당 마이크로전공
HBKI0020 문화서비스디자인(캡스톤디자인) 3 전공 디지털콘텐츠전공
HBKI0067 문화콘텐츠프로젝트(캡스톤디자인) 3 전공 디지털콘텐츠전공
HBVB0001 미디어아트프로젝트(캡스톤디자인) 3 1MD 해당 마이크로전공
HBKI0017 실감미디어디자인(캡스톤디자인) 3 전공 디지털콘텐츠전공
48 인공지능로봇디자인 자기
전공
활용형
교육단위 휴먼지능로봇공학과
041-550-5205
인공 지능을 통해 로봇의 기본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자동화된 서비스 로봇을 실현
할 수 있는 기본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하기 목적 위함
HBEB0055 AI로봇어드벤처디자인 3 전공 휴먼지능로봇공학과
HBEB0006 기초역학및연습 3 전공 휴먼지능로봇공학과
HBEB0010 로봇공학개론 3 전공 휴먼지능로봇공학과
49 비주얼로봇디자인 자기
전공
활용형
교육단위 휴먼지능로봇공학과
041-550-5205
컴퓨터 영상 처리를 통한 사물 및 상황 인식에 대한 기본 원리를 습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로봇 스스로 판단하고 상황에 적합한 목적
동작이 가능한 지능 제어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함 `
HBEB0045 AI로봇파이썬(PBL) 3 전공 휴먼지능로봇공학과
HBEB0008 로봇비전(IC-PBL) 3 전공 휴먼지능로봇공학과
HBEB0029 로봇제어프로젝트 3 전공 휴먼지능로봇공학과
서울/천안
융합
1 융합미디어디자인마케팅 융합연계형 교수단위 텍스타일디자인전공 양린 교수
041-550-5485
ltextile@smu.ac.kr
문화, 비즈니스, 예술과 결합한 다양한 부가가치가 창출되는 사회로 전환됨에 따라 오늘날 사회가 요구하는 디자인 사고와 역량 증진을 도모하여 이를 기반으로 모바일 비즈니스 기획과 미디어 창작 교육 융합을 통해 미디어 활용 기술을 활용하여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가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함 HBID3302 직물디자인기획Ⅱ(캡스톤디자인) 3 전공 텍스타일디자인전공
HBID4439 직물디자인과브랜드전략(PBL) 3 전공 텍스타일디자인전공
HALF9351 미디어와콘텐츠창작 3 교양 계당교양교육원
HBLA5071 모바일비지니스기획과앱 3 교양 계당교양교육원
2 디지털텍스타일디자인 융합연계형 교수단위 텍스타일디자인전공 양린 교수
041-550-5485
ltextile@smu.ac.kr
최근 디지털 미디어 기술과 다양한 과학기술과의 접목으로 기존 텍스타일디자인의 한계를 넘어 메타버스 시대에 새로운 방식의 텍스타일디자인 창작법과 표현 방식을 창출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함 HBIO1114 디지털미디어 3 전공 디자인학부
HBID4439 직물디자인과브랜드전략(PBL) 3 전공 텍스타일디자인전공
HBID4340 자카드디자인(캡스톤디자인) 2 전공 텍스타일디자인전공
HALF9287 컴퓨터활용능력(영상콘텐츠기획&제작) 3 교양 계당교양교육원